> 김치의 역사와 뜻 알아두기

지식

김치의 역사와 뜻 알아두기

miinyy 2021. 2. 3. 18:13

김치가 중국음식이라는 중국 유투버의 방송이 기네스북에 올랐다는 기사를 보고 진짜 어이가 없다고 생각했는데요. 그래서 오늘 김치의 역사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김치의 시작 

김장의 역사는 고려시대로 올라갑니다.

 

이규보의 동국 이상국 집에 겨울철 동치미를 담가먹었다는 기록이 남겨져있습니다. 실제로 김치의 원형은 채소를 소금에 절인 형태였습니다. 고려시대부터 채소를 소금에 절여 옹기에 저장해 두고 먹는 김장문화가 일반화된 것이라고 합니다. 

 

김치라는 단어는 절인 채소라는 의미의 한자어 '침채(沈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수천 년 동안 묵음 변화를 거쳐 지금의 김치라는 단어로 정착되었다고 해요. 

 

 

신라시대의 고찰 '법주사'에서도 김장의 역사를 알 수 있는 흔적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법주사에는 '석옹'이라고 하는 돌항아리 형태의 김칫독이 있는데 과거 3천여 승려들의 김장김치 저장고였다고 합니다. 이를 토대로 삼국시대부터 이미 물김치 형태가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채소에서 배추로 바꿔먹기 시작한 시기는 조선시대부터라고 합니다.

 

배추김치에대한 기록은 '산가요록'(조선 전기 어의 전 순의 집필)에서 볼 수 있는데요, 배추김치를 포함해 총 38가지의 김치 조리법이 소개되어있습니다. 

 

조선시대 후기 가정백과서인 '규합총서'에서도 양반가에서 먹었던 배추김치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배추김치의 형태고 먹기 시작한 역사는 불과 20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질 좋은 배추와 고추재배가 대중화되면서 매콤한 김장김치가 서서히 퍼져나갔다고 합니다.